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새활용 산업 육성사업

    새활용 기업 성장단계에 따른 맞춤형 사업화 자금지원으로 시장 정착과 사업화를 지원

    01

  • 우수 녹색산업
    해외수출기업 지원사업

    수출성장 가능성이 높은 역량 있는 기업을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수출형 환경기업으로 육성

    02

  • 녹색산업 시장개척단 파견사업

    진출 유망국을 대상으로 민·관 합동 시장개척단을 파견하여 국내 기업의 해외 환경사업 발굴, 수주 활동 지원

    03

1/4
2025-07 16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모바일헬스를 활용한 비대면 진료와 의료개인 정보 이슈

[맺음말]모바일 헬스는 개인 건강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분석하고, 이를 통해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와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핵심기술이다. 특히, 비대면 진료와 결합될 경우, 의료 서비스의 접근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감염병 예방과 만성질환 관리 등 다양한 의료 현장 수요에 대응하는 솔루션이 될 수 있다.그러나, 이와 함께 개인의 민감한 건강 정보가 디지털 환경에서 처리되면서, 개인정보 유출, 보안 취약성, 책임 소재 불명확성과 같은 문제도 함께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기술적 보안 조치 뿐만 아니라 법·제도적 장치, 운영 관리체계가 함께 마련돼야 한다.이번 원고에선 모바일 헬스 기술의 발전 흐름과 주요 활용 유형을 살펴보고, 비대면 진료에의 적용 가능성과 이슈를 분석했다. 특히 개인정보보호와 관련된 문제를 중심으로 주요 고려사항을 기술·제도·운영 측면으로 구분해 정리했다.향후 모바일 헬스를 기반으로 한 비대면 진료가 더욱 활성화되기 위해선 기술혁신뿐 아니라, 신뢰 기반개인정보보호체계 확립이 병행돼야 한다. 이를 통해, 국민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디지털 헬스케어 환경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출처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ICT Standard Weekly 제1246호(2025. 7.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