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새활용 산업 육성사업

    새활용 기업 성장단계에 따른 맞춤형 사업화 자금지원으로 시장 정착과 사업화를 지원

    01

  • 우수 녹색산업
    해외수출기업 지원사업

    수출성장 가능성이 높은 역량 있는 기업을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수출형 환경기업으로 육성

    02

  • 환경분야
    사회적경제기업 지원사업

    사회적·경제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하는 사회적경제기업이 성장하여 사회문제 해결과 함께 좋은 일자리를 창출하도록 육성 · 지원

    03

  • 녹색산업 시장개척단 파견사업

    진출 유망국을 대상으로 민·관 합동 시장개척단을 파견하여 국내 기업의 해외 환경사업 발굴, 수주 활동 지원

    04

1/4
2025-04 29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미·중 기술패권과 트럼프 2기: 바이오 기술의 게임체인저 전략

[시사점]● 전략적 대응 필요성  - 합성생물 기술은 데이터에 기반, 맞춤형 공정 설계, 생산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국가 기술주권을 강화하고, 바이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핵심 기술  - 한국은 생물학적 데이터를 활용한 정밀 분석 기술, 바이러스 기반 치료제 개발 및 분리·정제 기술, 작물 육종 및 고효율 배양 기술에서 경쟁력을 보유  - 한국에게 전략적 강점이 있는 바이오 데이터 분석 기술, 바이러스 약독화 기술 등을 통한 강점화 전략 대응 필요함● 기술혁신 구조와 협력 패턴의 전략화  - 현재 한국은 국제기관과의 협력 활성화를 통한 혁신 촉진을 위해 국제협력연구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고 있음● 인력 경쟁력 제고와 유출 방지 대응  - 바이오 분야 연구자 이동은 전통적으로 유출이 많았던 미국 외에도, 동남아, 중국 등 다양한 국가로 유출이 나타남  - 국가 차원의 선도형 R&D 창출을 위한 전략기술 의사결정지원체제의 구축   - 가칭 국가 R&D혁신전략분석 프레임워크<<그림4>, <그림 11> 참조>는 다양한 데이터(예: R&D 투자, 인력 동향, 시장 역학)를 통합하고 실행할 수 있는 통찰력을 제공하여 의사 결정을 최적화하는 것을 목표로 함출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이슈브리프 제80호(2025.02.24.)(저자 : 임종연·원동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