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최신기술동향

게시판 상세보기

[한국개발연구원] 재생에너지 확대에 대응한 전력도매시장 구조 개선 방향

한국환경산업협회 2025-09-12 14:49 조회수: 27회

※ 관련링크 통하여 세부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서론]

기상조건에 따라 공급량이 변동하는 재생에너지 비중이 빠르게 증가하면서, 안정적 전력 공급과 정전 방지를 위한 시설 투자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전력도매시장의 경직적인 가격 결정 구조는 적절한 투자 유인을 제공하지 못하고 필요한 시설 확충을 지연시키고 있다. 따라서 전력 수요와 공급을 유연하게 반영하도록 전력도매시장의 가격 체계를 재설계하여, 시설 투자와 시장 운영을 위한 가격 메커니즘이 원활히 작동하는 전력시장 구조로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난 20여 년간 전력시장 환경은 크게 변화하였다. 시장참여자는 2001년 10개사에서 2023년 6,333개사로 크게 늘어났고,1) 전력 수요 역시 257.7TWh에서 546.0TWh로 2배 넘게 증가하였다.2) 특히 태양광과 풍력을 비롯한 재생에너지 비중이 0.04%에서 8.5%로 크게 확대되면서 전력시스템 전반의 변동성이 높아지고 있다.3)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2030년 18.8%, 2038년 29.2%로 더욱 빠르게 확대될 전망이다.4) 재생에너지 비중이 낮을 때 작동 가능했던 현재의 전력도매시장 구조가, 재생에너지 비중이 높은 상황에서 안정적으로 전력 수요를 충족할 수 있을지 점검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는 기상 여건에 따라 재생에너지의 공급량이 크게 변동한다는 특성에 더해 전력도매시장의 구조적 한계까지 겹치면서, 예비 전력 부족이나 출력 불안정에 따른 대규모 정전 사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고는 재생에너지 비중 확대가 가져오고 있는 전력도매시장의 환경 변화를 살펴보고, 현재의 전력도매시장 구조가 지닌 한계를 진단한 뒤 이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 과제를 제시한다.

출처: 한국개발연구원 KDI FOCUS 제144호(2025. 9. 4.)

(집필자: 한국개발연구원 윤여창 연구위원)

게시판 리스트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열람중 [한국개발연구원] 재생에너지 확대에 대응한 전력도매시장 구조 개선 방향 링크 있으면 표시 한국환경산업협회 2025-09-12
316 [한국화학연구원] 한국 석유화학 산업의 미래: 위기와 도약의 길 링크 있으면 표시 한국환경산업협회 2025-09-12
315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AI 시대 미래 일자리를 위한 글로벌 협력 전략 링크 있으면 표시 한국환경산업협회 2025-09-12
314 [한국전기연구원] 리튬이온전지 한계 돌파 ‘복합 음극재’ 양산화 기반 마련! 링크 있으면 표시 한국환경산업협회 2025-09-12
313 [에너지경제연구원] 미 에너지부, 원전연료 공급망을 위한 새로운 컨소시엄 설립 계획 발표 링크 있으면 표시 한국환경산업협회 2025-09-12
312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유리 산업 탄소중립을 위한 소재 및 에너지 전환 기술 링크 있으면 표시 한국환경산업협회 2025-08-29
311 [한국자동차연구원] EV-배터리 등 주요 이슈브리핑 링크 있으면 표시 한국환경산업협회 2025-08-29
310 [한국재료연구원] 재료硏, 자체 개발 연료전지 추진 무인기 공중 실증 비행 성공 링크 있으면 표시 한국환경산업협회 2025-08-29
3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탄소중립 플랫폼 기술 동향분석 링크 있으면 표시 한국환경산업협회 2025-08-29
308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동화 속 앨리스가 되어 단위와 양자 기술 체험한다 링크 있으면 표시 한국환경산업협회 2025-08-29